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기초영어
- 중등영문법
- 기초영작
- 영작
- 영어의시제
- 에이달
- 중학생
- 현재완료진행
- 14년차영어강사
- 초등학생
- 영어공부법
- 기초문법
- 초등영작
- 성인영어
- 기초영문법
- 영어초보탈출
- 과거시제
- 영어회화
- 영어로문장만들기
- 초등영어
- 영어로말하기
- 영어로쓰기
- 초등영문법
- 영문법
- 시험준비생
- 성인기초영어
- 영어중급자
- 엄마표영어
- 영어시제
- 기초영어회화
- Today
- Total
에이달의 영어 초보 중급자되기
현재 시제와 현재 진행 시제, 그리고 현재 진행 시제의 배신 본문

안녕하세요 에이달입니다. 오랜만에 돌아왔네요.
영어의 시제를 쭉 정리드린다고 한지 꽤 되었는데 이제서야 올리니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정기적으로 블로그 작성하는 시간을 만들어서 꾸준히 해보겠습니다.
안 온 사이에 구독자분이 한 분 늘었네요.
구독자 2명이지만 이걸 오프라인이라고 생각한다면 엄청난 일인 것 같습니다. 과외를 하거나 학원을 할 때 신입생 한 명 받는 것이 얼마나 특별한지 생각해보면요. 어디가서 구독자 2명이라고 자랑할 수는 없겠지만 저는 만족스럽습니다.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 기쁘네요.
오늘은 일반 동사인 경우의 현재 시제와 현재 진행시제에 대해 배워볼게요.
현재 시제
현재 시제의 쓰임
- 현재 또는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일
- 항상 사실인 것을 말할 때
예를 들자면
She reads a book. 그녀는 책은 읽는다.
이것은 그녀가 평상시 독서를 즐기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He works at a bank. 그는 은행에서 일해요.
그가 은행에 근무한다는 것이지요.
They go to school. 그들은 학교에 가요.
그들이 학교에 다닌다는 뜻입니다.
Children need to have proper food. 아이들은 적절한 음식을 먹을 필요가 있다.
이건 일반적인 사실이지요? 당연히 그냥 현제시제로 써야합니다.
3인칭 단수 주어이면 동사에 -s
현재 시제에서 중요한 것은 주어가 3인칭 단수이면 뒤에 -s를 붙인다는 거에요.
1인칭 - 나와 우리
2인칭- 너, 너희들
3인칭- 나머지 다
그럼 이렇게 됩니다.
1인칭 I, we
2인칭 you
3인칭 he, she, it, they
he, she, it, they 중 단수는 뭔가요? 단수는 하나라는 말이니까 he, she, it 이지요. 꼭 he, she, it 뿐 아니라 My dad, The girl, Your cat 등 he, she, it 으로 바꿀 수 있는 단어들 모두 3인칭 단수입니다.
근데 그냥 -s 붙이면 을매나 좋겠어요? 이노무 영어는 늘 예외가 있어요...
일단 가장 기본규칙은 -s붙이는 겁니다.
그런데 s, x, sh, ch로 끝나면 es
자음 y 로 끝나면 ies
do는 does로
have는 has로
go는 goes 가 됩니다.
왜 그런지 납득이 안되더라도 너그럽게 그냥 품어주세요. 영어란 원래 그런 것... 오랜시간 지나오며 여러 민족들에 의해 바뀌다보니 그냥 그런 것...
현재 진행 시제
현재 진행 시제의 쓰임
1. 현재 주어가 하는 중인 행동
2. 현재 하는 중이면서 아직 끝나지 않은 행동
형태: be동사 + 동사ing
이건 잘 아시죠?
여기서 be를 그대로 쓰라는 게 아닙니다.
be동사는 뭐라고 했지요? 변신의 귀재입니다. 사람도 상대방이 원하는 모습에 잘 맞춰주는 사람이 있는데 be동사도 그래요. 앞에 나오는 주어에 따라 변신합니다. am, is, are로요!
따라서 am, is, are 중 알맞은 것을 주어 옆에 쓰고 동사에 ing을 붙이세요!
현재 진행 시제의 예
She is reading a book. 그녀가 평상시 독서를 하는지 안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어쨌건 지금 책을 읽는 중이라는 겁니다.
He is working at a bank. 그가 오늘만 일일 근무를 하는지, 아니면 정수기 관리하는 사람인데 오늘은 은행에 가서 정수기를 케어하는 중인지, 혹은 은행 직원인지는 알 수 없지만 어쨌건 지금은 그가 은행에서 일하는 중이라는 것입니다.
They are going to school. 얘네들이 학교를 다니는 학생인지, 아니면 동네주민인데 학교 운동장 쓰러가는지 연유는 알 수 없지만 어쨌건 학교라는 장소로 가는 중이라는 뜻입니다.
이 두 시제의 차이가 이해가시나요?
우리나라말은 이전 게시물에 썼듯이 시제를 민감하게 구분하지 않습니다. 같은 말이라도 문맥과 상황에 따라 현재 시제가 될 수 도 있고 현재 진행 시제가 될 수 도 있지요.
예를 들자면
너 지금 뭐하니? - 지금 무슨 행동을 하고 있냐는 현재진행형 질문이지요?
나 구몬해.
너 학습지 뭐하니?- 어떤 학습지를 하냐는 평상시 행동에 대해 묻는 질문이죠.
나 구몬해.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시제가 헷갈릴 수 있어요. 그러나 이 시제를 잘못 쓰면 전달하는 의미가 완전히 달라져서 이 시제를 잘 구분하여 쓰는 게 참 중요합니다. 어찌보면 시제만 잘 이해해도 단어를 많이 모르거나 문장을 길고 유창하게 만들진 못하더라도 영어를 어떤 면에서 잘한다고 볼 수 있지요.
연습!
그럼 다음 상황에 알맞게 동사를 변형시키거나 그대로 넣어보세요.
I English every Monday, Wednesday, Friday. (study)
My teacher a pet cat.(have)
The guys soccer now.(play)
We some pizza today. (have)
-
-
-
-
정답!
I study English every Monday, Wednesday, Friday. (study)
내가 매주 월 수 금에 영어 공부한다는 것이니까.
My teacher has a pet cat.(have)
선생님이 고양이를 오늘도 어제도 내일도 기르니까.
The guys are playing soccer now.(play)
지금 축구를 하는 중이라는 거니까.
We are having some pizza for today's dinner. (have)
오늘 피자를 먹는 중이라는 거니까.
현재 진행 시제의 배신
-현재 진행 시제가 미래도 된다니
현재 진행 시제가 지금 진행 중인 동작이라는 건 모두들 아시죠?그런데 이 현제 진행 be ---ing가 가까운, 계획된 미래를 말할 때 도 쓰인다는 걸 아시나요?
왜 그런가요?
그냥 영어란 녀석, 품어줍시다.
여기서 중요한 건 계획된 미래!!! 그냥 막연하게 나 미국 갈거야. 미국 가고싶어. 이런 일에는 쓸 수 없습니다. 진짜로 할 예정인 일에만 쓰는거예요.
예)
I'm having blind date this Saturday. -나 이번 주 토요일 소개팅 함.
My uncle is visiting us this summer - 삼촌이 이번 여름에 우리집에 옴,
이런 일이에요. 그런데 만약 어떤 사람이 언제가는 세계일주를 하고싶은 소망이 있어요. 그래서
I'm traveling around the world. 라고 하면 듣는 사람이 깜짝 놀라겠죠. 뭐?? 너 세계일주 한다고? 언제? 어떻게??
오늘은 현재와 현재진행 두가지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배워봤어요. 어린이이거나 청소년이라면 세밀한 문법적 사항에 초점 맞추어서 3인칭 단수 주어, ing 붙이는 형태 등등을 열심히 기억해야겠지만 영어를 일단 말하고 쓰고자 하는 우리 성인들은 이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해요.
문법을 배우지 말아야 하는게 아니라 실제 활용에 포커스 맞추어 문법을 배워야 하는 거에요.
앞으로 과거, 과거 진행, 미래, 완료까지 함께해요. 그럼 화이팅!
'실용적 관점으로 정리하는 영어 시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완료 시제, 그리고 완료진행들(죄송해요 얘네들까지 영어 시제는 사실 12개 -ㅂ-) (2) | 2023.05.06 |
---|---|
과거완료시제 (4) | 2023.04.29 |
현재완료시제와 과거시제 (2) | 2023.04.22 |
과거시제와 과거진행시제! (0) | 2023.04.15 |
시제 Tense - 영어의 시제엔 뭐가 있나? (2)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