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적 관점으로 정리하는 영어 시제

시제 Tense - 영어의 시제엔 뭐가 있나?

에이달_ 2022. 10. 3. 09:00

시제란 무엇일까요?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현재, 과거, 미래, 현재진행, 현재완료 등등이요.

 

 

영어에서는 현재인지 과거인지 미래인지 어떻게 나타낼까요? 

주어 + 동사 +기타 등등으로 이루어지는 이 문장 어순 중, 동사를 변형시켜 현재인지, 과거인지, 미래인지, 현재 진행인지 등등을 나타냅니다.

 

주어 + 동사 기타 등등을 먼저 알고 싶으신 분은 

 

문장만들기 1, 2편을 먼저 보고 오세요.

 

 

1. 영어 시제, 한국어 시제의 큰 차이

 

영어와 한국어 시제가 아주 다르지 않지만 차이점이라면 한국어는 시제를 민감하게 구분하지 않고 그냥 문맥상 구분하는 경우도 많은데 영어에서는 시제를 딱 요 경우에는 이렇게!!! 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너 구몬해? / 응, 나 구몬해.

 

여기서 나 구몬해, 는 내가 구몬 학습지 회원이고 수업을 정기적으로 받는다는 뜻입니다. 현재시제이죠.

 

 

너 뭐해?/ 나 구몬해.

 

그런데 이 두번째 대화에서의 '나 구몬해.' 는 너 지금 뭐하냐는 질문에 대해 지금 구몬 학습지는 푸는 중이라는 뜻입니다. 현재진행시제이지요. 

 

초등학생들이 시제를 배우면서 의외로 많이 헷갈려하는 부분이 이것입니다.

문법교재를 풀면 다 이해하더라도 이런 부분에서 실제 영작에 적용할 때 어려운 것이지요.

 

 

2. 영어 시제 총정리

 

일단 시간은 크게 현재, 과거, 미래가 있지요. 영어에서는 이 시제에 대해 3가지 버전이 있습니다.

초등 어학원에서는 이걸 용어를 영어로 가르치는 경우가 있어요.  그게 더 있어 보여서인지 아니면 언젠가 갈지도 모르는 필리핀 어학연수등을 대비하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알고 있으면 교재를 봐도 도움이 되겠지요. 저도 영어를 병기하겠습니다.

 

  그냥 simple 진행 continuous 완료 perfect
현재 (present) (그냥) 현재  present simple 현재 진행 present continuous 현재 완료 present perfect
과거 (past) (그냥) 과거 past simple 과거 진행 past continuous 과거 완료 past perfect
미래 (future) (그냥) 미래 future 미래 진행 future continuous 미래 완료 future perfact

 

 

이렇게 총 9가지 시제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고 이 9가지 시제들은 각각 능동태일 수 도 있고 수동태일 수 도 있어요. 

그러면 9가지 시제 각각 능동태, 수동태 이 두가지 버전을 가지니 총 18가지 동사형태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의외로 많은 학생들이, 심지어 중학생들도 이 태, 를 시제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어요. 인지적으로 아직 완전히 발달되지 않았고 뇌가 성장 중이기 때문입니다. 

 

무슨 공부이든 마찬가지지만 개념을 정확하게 잡아주어야 합니다. 

 

태는 시제가 아니에요. 태, 말그대로 형태입니다.

 

 

시제는 9가지. 이 시제가 각각 능동태(active)가 될 수 도 있고 수동태(passive)가 될 수 도 있다!!

 

3. 능동태, 수동태를 간단히 설명할게요.

 

우리가 흔히 쓰는 문장이 대부분 능동태 입니다.

 

예)

I move the box.

나는 그 상자를 옮긴다.

 

상자를 옮기는 사람이 누구? 나. 주어인 나, 가 능동적으로 옮기니까 능동태

그냥 동사를 쓰면 됩니다.

 

The box is moved by me.

 

그 상자는 나에 의해 옮겨진다.

 

상자가 능동적으로 행동하는게 아니라 행동, 옮겨짐을 당하기 때문에 수동태!!

수동태는 그 시제에서 알맞은 be동사를 쓰고 과거분사를 쓰면 됩니다. 

 

사실 수동태는 이런 때 쓰기에 적합합니다. 

 

이 건물은 2002년에 지어졌다. 와 같이 딱히 주어가 필요없을 때요.

 

Some people built this building in 2002. 

보다는

 

This building was built in 2002. 

 

이게 낫지요??

 

 


여담으로 영어로 수동태를 passive 라고 하는데,

제가 몇년 전에 집 짓는 것에 대해 관심이 많아서 이런 저런 유튜브를 찾아보는데 패시브 하우스 (passive house) 라는 게 있더라고요.

 

창문을 최대한 작게 만들고 단열재를 잘 써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집 형태더라고요. 에너지는 막 가스를 태워서 만들어서 적극적으로 쓰는게 아니라 최대한 방어하겠다, 그래서 passive 하우스. 

이때 수동태가 어떤 것인지, 영어에서 passive 가 어떤 느낌인지 더 잘 이해가 갔습니다. 

 

시제를 하나하나 배우다 보면 무슨 시제가 있는지 헷갈리기 마련이기에 오늘은 9가지 시제를 눈에 잘 들어오도록 정리해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시제를 하나하나 설명할게요.

 

문장 만들기 부터 해서 영작과정을 쭉 밟아오며 영작 연습해오시던 분들도 하나씩 정석적으로 시제에 대한 기틀을 다져가보실게요.